로고

동학민족통일회
로그인 회원가입
동학민족통일
  • 동학민족통일
  • 통일
  • 동학민족통일에대한 소개입니다.

    통일

    동학민족통일에대한 소개입니다.

    1. 남북협상의 의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dongmin
    댓글 댓글 2건   조회Hit 1,373회   작성일Date 22-07-20 14:51

    본문

    해방정국이란?     


    45f0d2c8ef46e77e0cf2dc0dabeb9863_1661240612_8047.png
                      


    해방에서부터 제1공화국 수립까지의 3년(1945. 8.15~1948. 8.15)


    치열한 정치투쟁이 전개된 기간

    수많은 인물과 단체가 명멸한 기간 

    많은 이론과 정책이 대립했던 기간 

    독립운동 세력과 친일세력간의 투쟁 기간 

    자주와 외세의 극단적 대립의 기간 

    분단이 현실로 다가온 기간


    외세가 승리한 기록인가, 자주적 노력의 한계인가?


    1. 해방정국의 출발점

    출발점의 단체들

    1) 해외 독립운동단체

    ▷ 중경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 연안의 조선독립동맹

     

    2) 국내 독립운동단체

    ▷ 몽양 여운형의 건국동맹

    ▷ 조선공산당

     

    3) 한국민주당 등 친일세력



    ........................................................................................................................................................................................................



     45f0d2c8ef46e77e0cf2dc0dabeb9863_1661240715_4326.png 

    중경의 임시정부

    1919. 9.11 상해임정으로 탄생

    상하이(1919) ➡ 항저우[抗州, 1932] ➡ 전장[鎭江, 1935] ➡ 창사[長沙, 1937] ➡ 광둥[廣東, 1938] ➡ 류저우[柳州, 1938] ➡ 치장[1939] ➡ 충칭[重慶, 1940]

    8번 이사를 다니며 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

     

    연안의 조선독립동맹

    1942년 7월 10일 화북조선독립동맹 결성

    예하에 조선의용군을 구성해 중국 공산당인 팔로군과 함께 대일 항전에 참전

    주석 : 김두봉 / 사령관 : 무정

     

    몽양 여운형의 건국동맹

    1944년 8월 10일 조직된 독립운동 단체.

    3불 원칙 : 불문(不文), 불언(不言), 불명(不名)

    조선의 완전 독립, 민주 국가 건설을 목표로.

     

    조선공산당

    1925년 4월 25일 1차 조공 출범 이후 4차례 건설.

    국내 최대의 저항운동 단체

     

    한국민주당 등 친일세력

    국내 친일조직과 단체들

    명분 보다는 실력에서 우위 확보.

     

    2. 갑자기 찾아온 해방

    1943년 11월 미국, 영국, 중국의 카이로 선언

    “…•전기 3대국은 조선민중의 노예상태에 유의하여 적당한 시기(in due course)에 조선을 자유 독립시키기로 결의했다.…”


    45f0d2c8ef46e77e0cf2dc0dabeb9863_1661240799_1686.png
     

     

    일본의 대응

    ▷ 몽양 여운형에게 치안권 이양

    ▷ 몽양의 조건

    1) 모든 정치범을 즉시 석방할 것.

    2) 8, 9,10월의 경성 시민이 먹고 살 수 있을 만큼의 식량을 확보해줄 것.

    3) 우리 조선이 주체적으로 치안을 맡는다.

    4) 치안 유지와 건설 공사에 총독부는 방해하지 않는다.

    5) 학생들과 청년들 활동을 총독부가 방해하지 않는다.

     

    건국준비위원회 구성

     

    3. 건국준비위원회

    1945년 8월 15일 ~ 9월 7일

    광복 이후 최초의 정치 단체와 한국 현대사 최초로 지방자치를 시행한 조직.

     

    ▷ 8월 말까지 전국 145개 지부 결성(북한 지역 책임자는 조만식)

    ▷ 그러나 우익들의 반발과 내부 갈등 등으로 분열

    ▷ 결국 미군 진주에 대비한 인민공화국 건설로 활동 마감.

    ▷ 건준과 미군정

     

    미군정의 시작과 애국지사들의 귀국

    하지(John R. Hodge) 중장 오끼나와 주둔 보병 제24군단

    ▷ 9월 8일 미군 입국

    ▷ 9월 9일 군정 선언

    “인민공화국뿐 아니라 임정 부정”

     

    ▷ 10월 16일 이승만 귀국 : 하지의 극진한 대접(숙소, 자동차)

    ▷ 11월 23일 임정 요인 귀국 : 개인자격…

    45f0d2c8ef46e77e0cf2dc0dabeb9863_1661240816_0401.png
     

     

    38도 선의 구획과 북한

    ▷ 걷잡을 수 없는 소련군의 남하(8월 8일 함경도 토리지방 상륙)

    ▷ 8월 10일 밤 미국의 三省위원회 (State-War-Navy Coordinating Committee) 작성

    ▷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소 양국의 한반도 분할 점령안 수련 동의로 38도선 확정

     

    김일성의 등장

    평양의 건국준비위원회 평남지부(대표 조만식)와 조선공산당 평남지부(대표 현준혁)를 통합하여 ‘임시인민위원회’를 조직. 전국으로 확대 실시.

    ▷ 9월 19일 소련군 88여단 소속으로 김일성 귀국

    ▷ 10월 10일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설치

    ▷ 10월 14일 평양 공설 운동장에서

    소련군과 김일성을 환영하는 군중대회

    ▷ 46년 2월 8일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설치

    ▷ 46년 3월 토지개혁실시

    4.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과(1945.12. 27)


    45f0d2c8ef46e77e0cf2dc0dabeb9863_1661240847_5998.png
     




    극심한 찬반탁의 대립

     

    이념대립의 서곡

    좌우익, 과연 누구 옳았는가?

     

    모스크바 삼상회의 내용(선임정 후신탁)

     

    1) 한국에 민주주의적 임시정부가 설립될 것.

    2) 임시정부 설립을 위하여 미·소 공동위원회를 설립할 것이며, 이 위원회는 한국의 민주주의적 정당과 사회단체들과 협의한 후 … 미·소 양국은 최종적인 정책 결정을 내릴 것.

    3) 미·소 공동위원회는 한국의 민주주의적 임시정부와 민주주의적 조직들의 협조 하에 정치적, 경제적 및 사회적 발전 및 민주주의적 자주정부의 발달과 한국의 독립을 위하여 협조 및 원조(신탁)할 것… 한국의 임시정부와의 협의가 있은 후 미소·영·중 각 국 정부에게 제출되어 한국에 있어서의 4개국에 의한 최고 5년간의 공동신탁에 관한 합의를 이루도록 할 것.

    4) 미·소 양 사령부의 대표는 2주간 내에 회합을 가질 것.

     

     

     

    45년 12월 29일 자 동아일보 기사(선신탁 후임정)

     

    “미·영·소·화 4국에 의한 신탁통치제를 실시하는 동시에 조선 임시정부를 수립케 하여 조선의 장래 독립에 비할 터인바 신탁통치 기간은 최고 5년으로 한다.”

     

    “선 임정수립 후 신탁 결정”이 “선 신탁수립 후 임정수립”으로 왜곡

    ‘최고(at most) 5년간’과 ‘적어도(at least) 5년간’의 차이

     

    45f0d2c8ef46e77e0cf2dc0dabeb9863_1661240870_0662.png

     

    탁지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 조직

    ▷ 위원장 권동진, 부위원장 안재홍, 김준연 등 거족적 반탁운동 돌입

    ▷ 임정의 내무부장 신익희 31일 포고령 발표 : 경찰 및 전국 행정기관을 전부 임시정부의 지휘 하에 둔다고 선언

     

    외무부장 조소앙

    “신탁통치를 찬성하는 것이 독립운동이냐, 반대하는 것이 독립운동이냐를 우선 생각해주기 바란다. 우리는 지금 독립운동을 하고 있지 않은가.”

    ▷ 그러나 46년 1월 2일 좌익은 돌연 찬탁으로 돌아서면서 이념대립 극심

     

    미소공동위원회 활동

    (미국측 대표 소장 A.V.아놀드, 소련측 대표 중장 T.E. 스티코프)

     

    ▷ 극심한 이념대립 속에서 1946년 3월20일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 소련측 주장과 미국측 주장의 대립과 결렬(1946년 5월 1일)

     

    ▷ 소 군정 : 토지개혁 실시

    ▷ 미 군정 : 좌익 탄압(정판사 위조지폐사건, 해방일보 폐간, 조봉암 서신사건)

    ▷ 좌익의 대응 - 신전술(비합법 폭력노선)

    ▷ 미 군정의 해법 : 좌우합작 구상

    5. 좌우합작위원회의 활동과 결과

    ▷ 5월 25일 버치 중위의 알선으로 우측 대표로 김규식, 원세훈, 좌측 대표로 여운형, 황진남 참여.

    ▷ 7월 10일 좌우합작운동 양측 대표 결성

    우측 대표 : 주석 김규식(민주의원 부의장), 대표 원세훈(한민당), 김붕준(임시정부), 안재홍(국민당), 최동오(민주의원, 비상국민회의 부의장)

    좌측 대표 : 주석 여운형(인민당 당수, 민주주의민족전선 의장단), 대표 허헌(민주주의민족전선 의장단), 정노식(신민당), 이강국(공산당), 성주식(민족혁명당)

    ▷ 좌측 5원칙과 우측 8원칙을 두고 회의

     

    10월 7일합의문 완성

    1) 조선의 민주 독립을 보장한 3상회의 결정에 의하여 남북을 통한 좌우합작으로 민주주의 임시 정부를 수립할 것.

    2) 미소공동위원회 속개를 요청하는 공동 성명을 발할 것.

    3) 토지 개혁에 있어서 몰수, 유조건 몰수, 체감매상 등으로 토지를 농민에게 무상으로 분여하며, 시가지의 기지 및 대건물을 적정 처리하며 중요 산업을 국유화 하며 … 민주주의 건국 과업 완수에 매진할 것.

    4) 친일파 민족 반역자를 처리할 조례를 본 합작위원회에서 입법 기구에 제안하여 입법 기구로 하여금 심의 결정하여 실시케 할 것.

    5) 남북을 통하여 현 정권하에 검거된 정치 운동자의 석방에 노력하고 아울러 남북 좌우의 테러적 행동을 일체 즉시로 제지토록 노력할 것.

    6) 입법 기구에 있어서는 일체 그 기능과 구성방법 운영을 본 합작위원회에서 작성하여 적극적으로 실행을 기도할 것.

    7) 전국적으로 언론, 집회, 결사, 출판, 교통, 투표 등 자유를 절대 보장되도록 노력할 것.

     

    ▷ 12월 12일 민선과 관선을 통해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설치

    ▷ 1947년 6월 19일 제2차 개편을 통하여 사회민주주의적 이념적 지향

    ▷ 그러나 좌우익의 반대 극심

    ▷ 우익 : 한민당 반대 성명, 이승만의 정읍 발언(1946. 6. 3)

    ▷ 좌익 : 여운형 임살(1947.7.19)

    ▷ 몽양 암살

     

    6. 유엔으로 이관된 남북문제

     

    45f0d2c8ef46e77e0cf2dc0dabeb9863_1661240905_3229.png

    ▷ 2차 미소공위 1947년 5월 21일 열렸지만 역시 결렬(1947.10.20)

    (공위에 참가할 한국정치, 사회단체의 자격을 놓고 미소 대표단의 의견대립)

    ▷ 미국측 한국 문제를 UN으로 이관, 소련측 양군 철퇴안으로 대응

    ▷ 미국측의 의도 : 이승만과 한민당 중심의 남한 반공정권 수립

    ▷ 소련측의 의도 : 김일성 중심의 인민위원회 하의 공산 정권 수립

    ▷ 1948년 1월 8일 UN한국임시위원단 서울도착

    ▷ 2월 26일의 UN 총회 결정-가능한 지역만의 단독선거

     

    중도파들의 최후의 노력 : 남북협상

    7. 남북협상의 과정과 결과


    45f0d2c8ef46e77e0cf2dc0dabeb9863_1661240943_4133.png

     

    ▷ 1948년 2월 4일 민족자주연맹에서 북측에 제의(김구 동의)

    ▷ 3월 11일 김구, 김규식, 조소앙, 김창숙, 조완구, 홍명희, 조성환 7인 성명발표

    ▷ 3월 27일 북측의 초청 “4월 14일 전조선 정당사회단체대표자 연석회의 평양대회”

    ▷ 4월 19일 김구 방북(108명 문화인 지지 성명)/ 4. 21 김규식 북행

     

    ‘전조선 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4월 19일~4월 26일) ‘남북요인회담(4김 회담)’(4월 27일~4월 30일) 참석

     

    ▷ 남쪽 : 김구, 김규식, 조소앙, 조완구, 홍명희, 김붕준, 최동오, 이극로, 엄항섭(우익)과 허헌, 백남운, 박헌영(좌익)

    ▷ 북쪽 : 김일성, 김두봉, 최용건, 주영하

    ▷ 협상결과 :

    1) 외국군의 즉시철군.

    2) 철군 후 내전 발생 부인, 임시정부 수립과 그 정부하의 총선거 실시로 통일민주 정부수립.

    3) 남조선의 단선 불인정 등을 발표.

     

     

    5월 5일 귀국 회견

    1) 남북제정당사회단체연석회의가 조국의 위기를 극복하고 민족의 생존을 위해 주의와 당파를 초월하여 단결할 수 있음을 행동으로 증명한 회의였음.

    2) 남북의 단선 단정을 반대, 미․소 양군 철퇴를 요구, 북은 단정수립 거부약속.

    3) 앞으로 남북지도자가 자주 접촉하여 문제해결.

    4) 송전과 연백저수지 개방 동의, 조만식 월남시키도록 노력.

     

    남북협상

    ▷ 그러나 미소군 철수 거부로 처음부터 파행

    ▷ 이승만과 한민당의 맹비난

    ▷ 결국 5․10 단독선거로… 8월 15일 제1공화국 수립

     

     

    45f0d2c8ef46e77e0cf2dc0dabeb9863_1661240980_9241.png
     

     

    남북협상의 의의

    ▷ 해방 후 최초의 남북 지도자 연석회의

    ▷ 남쪽의 이승만, 한민당 계열을 제외한 전 정당단체 참여한 회의

    ▷ 자주적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최후의 노력

    ▷ 실패할 것이지만 한민족이기에 해야 할 협상

    ▷ 불가능하다고 포기할 수 없는 민족의 운명

    ▷ 이승만 정부의 탄압 속에서 지하화되었지만 이후 민주화 운동과 통일운동 세력으로 정착

    8. 결국

     

    ▷ 결국 해방정국은 새로운 역사의 시작이고 새나라 건설을 위한 노정

    ▷ 그러나 결과는 남북한 모두 외세와 결탁한 세력의 승리로…

    ▷ 외세 영향론 or 자주적 노력론

     

    “우리는 현실적이냐 비현실적이냐가 문제가 아니고, 그것이 정도냐 사도이냐가 생명이라는 명기하여야 하는 것”(백범 김구)

     

    ▷ 해방정국의 중도파

    댓글목록

    profile_image

    dfgh님의 댓글

    dfgh 작성일 Date

    http://shark5154.co.kr 화장품제조관리사

    profile_image

    cvbn님의 댓글

    cvbn 작성일 Date
    02)

    738 -
    6623

    단체소개

    사업영역

    후원안내

    후원하기

    회원가입

    공지사항

    자원봉사활용

    유튜브동영상

    상단으로